분류 전체보기

최종 구현 UI 구성 순서 및 Stack View Constraints 설정 계산기의 UI 를 "숫자나 결과 값을 나타내는 UILabel" 와 "이를 계산하기 위한 숫자 및 연산자 버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서 생각해볼 수 있다. 1) 숫자나 결과 값을 나타내는 UILabel 따라서 UILabel 하나를 생성한 후 Top, Trailing, Leading 에 각각의 Constraints 를 준 후, Height 를 설정하면 다음과 같이 Label 이 위치한다. Bottom 을 제외하고 값을 준 이유는 하단의 생성하는 UIView에서 Top 에 Constraints 를 주기 위해서이다. 2) 계산하기 위한 숫자 및 연산자 버튼 버튼 UI 를 구현하기 위해 UIView 를 추가하여 앞서 만든 Label ..
UIStackView 란? 열 또는 행에 View 들의 묶음을 배치할 수 있는 간소화된 인터페이스. AutoLayout 을 이용하여 디바이스의 스크린 사이즈나, 혹은 일어날 어떠한 변화에 맞추어 동적인 UI 를 구성할 수 있다. 복잡한 UI 를 구성하는데에 있어서, 일일이 Auto Layout 제약조건을 설정하면 제약 조건이 많아져 복잡하고, 관리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종종 원하는 대로 UI 구성이 안될 때도 있다. StackView 를 사용하면 AutoLayout 제약 조건을 설정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UI 구성이 가능하다. UIStackView 속성 Stack View 에는 다양한 속성이 있다. 1. Axis Stack View 의 방향을 결정한다. → 가로 : horizontal → 세로 : ver..
Code 로 Present / Push 되는 화면 전환 방법에서의 데이터 전달 # 실습 : ⓐ ViewController 에서 ⓑ ViewController 로의 데이터 전달 1) ⓐ ViewController 의 메서드에 instantiateViewController 를 호출하여 데이터를 전달할 ⓑ ViewController 로 Down Casting 하여 ⓑ ViewController 의 프로퍼티에 접근한다. 2) ⓑ ViewController 의 viewDidLoad() 메서드에 값을 넣은 프로퍼티를 호출한다. Delegate 패턴을 활용하여 이전 화면에 데이터 전달하기 Delegate : 위임자 Delegate 패턴 : 위임자를 갖고 있는 객체가 다른 객체에게 자신의 일을 위임하는 형태의 디자인 ..
UIViewController의 객체에는 View 객체를 관리하기 위한 메서드들이 정의되어 있다. 이 메서스들은 각자 자신들이 불려져야할 타이밍일 때 ios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호출된다. UIViewController 의 하위 클래스를 생성할 때 UIViewController 에 정의된 이 메서드들을 override 하여 LifeCycle 상황에 맞게 적절한 로직들을 메서드에 추가할 수 있다. 시스템이 어떤 메서드를 언제 호출해야하는지를 먼저 이해해야 그 시점에 잘 맞춰 UI 변화나 데이터의 변화를 처리할 수 있다. View 가 보여지는 상황은 크게 4가지로 나누어서 설명할 수 있다. Appearing : 뷰가 화면에 나타나는 중 Appeared : 뷰가 화면에 나타나는게 완료된 상태 Disappea..
· NestJS
1. Controller Controller 란 외부(사용자)의 요청을 받는 모듈이다.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요청을 처리하고, 요청을 보낸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반환하는 역할을 한다. 라우팅 메커니즘 어떤 Controller가 해당 요청을 처리할지 조정한다. 보통은 각각의 Controller는 하나 이상의 경로가 있으며, 각기 다른 경로는 각기 다른 행동을 수행한다. 다음과 같이 다양한 Route 정보와 Action 정보를 담고 있는 HTTP Method 가 하나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Controller 에 가지고 있을 것이다. Nest 는 기본 Controller 를 생성하기 위하여 클래스와 데코레이터를 사용한다. import { Controller, Get, Param } from '@n..
· NestJS
1. NestJS 란? NodeJS 에 기반을 둔 웹 API Framework. 그럼 NodeJS 란? API 란? 2. NodeJS 의 특징과 NestJS 단일 쓰레드에서 구동되는 non-blocking I/O 이벤트 기반 비동기 방식 여러 개의 작업 요청이 한번에 들어올 때 각 작업을 처리하기 위한 쓰레드를 만들고 할당하는 방식을 멀티 쓰레드 방식이라고 한다. 멀티 쓰레드 방식은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하므로 작업 처리 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지만, 공유 자원을 관리하려는 노력이 많이 들고, 잘못 작성된 동기화로 인해 락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쓰레드가 늘어날 때 마다 메모리를 소모하므로 메모리 관리 또한 필요하다. NodeJS에서는 하나의 쓰레드에서 작업을 처리한다. Applic..
1. UIView 화면의 직사각형 영역에 대한 내용을 관리하는 객체이자, 화면을 구성하는 요소의 기본 클래스이다. UIView는 위치와 크기를 갖는 사각형으로 배경색을 가지고 있고, 문자나 이미지 등 컨텐츠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여러 UI Component를 보여주는 용도로 사용한다. 2. ViewController 앱의 근간을 이루는 객체. 모든 앱은 최소한 하나 이상의 ViewController를 가지고 있다. ViewController은 데이터 변화에 따라서 View 컨텐츠를 업데이트한다. 3. AutoLayout 제약 조건(Constraints) 을 이용하여 뷰의 크기와 위치를 지정하는 것 아이폰의 다양한 해상도 비율에 대응하기 위해 나온 것으로, Storyboard 에서 설정할 수 있다..
1 . Cocoa touch Framework & UIKit Cocoa Touch Framework iOS 개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최상위 프레임워크. 일반적으로 iOS 개발을 위해 ObjectC 혹은 swift 에서 상속하여 사용하는 대부분의 클래스 객체들이 모두 Cocoa touch framework에 포함된다. 이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UIKit & Foundation 이다. Foundation Framework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부터, 자료구조, 각종 구조체, 타이머, 네트워크 통신 등 기본적인 프로그램의 중심을 담당한다. UIKit Framework 사용자의 인터페이스를 관리하고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이 주 목적인 프레임워크이다. 2 . MVC UIKit 앱의 구조는 MVC ..
Younngjun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9 Page)